Item 1 of 6

우마랑

2017 BUILT
LOCATION

우마랑(牛馬廊) 이야기
우면산과 말죽거리공원은 원래 하나의 숲으로 연결된 자연 녹지였다. 말죽거리(馬粥巨里) 공원은 원래 우면산의 일부였으나 1968년 경부고속도로 개통되면서 산줄기가 단절되었다. 소가 잠자는 모습을 닮았다는 의미를 가진 우면산(牛眠山)에서 말죽거리 공원은 소의 머리 부분이다. 남태령 고개t로 소의 꼬리가 잘려 나가고, 이어 고속도로로 소의 목이 잘린 형상이 되면서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는 풍수적으로 좋지 않고 사고를 부른다는 속설이 떠돌기도 했다. 말죽거리(馬粥巨里) 공원은 두 가지의 유래가 전해지고 있다. 조선(朝鮮) 인조(仁祖)가 반란으로 충청도 공주로 피난 가던 중 이곳을 지날 때 배가 무척 고팠는데, 지역 유생들이 팥죽을 쑤어 주자 말 위에서 죽을 먹었다던 이야기와, 이 곳이 조선시대 한양으로 오고 가는 여행자, 행상(行商)들이 잠시 쉬며 말에게 죽을 먹이던 곳이라는 데서 말죽거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이야기다.원래는 하나의 자연 녹지였던 우면산(牛眠山)과 말죽거리(馬粥巨里) 공원을 이어주는 의미에서 이름 지어진 ‘우마랑(牛馬廊)’을 통해 다시 동물이 오고 가고, 시민들이 그 자연 속으로 오고 가는 치유의 길이 되길 바라며, 우리 선조의 옛 이야기를 담아 소와 말이 만나는 길을 제안한다.

생태계획
우마랑(牛馬廊) 녹지연결로는 경부고속도로로 인해 완전히 단절된 강남권 녹지의 단절을 회복하고 녹지의 단절로 인해 발생했던 생물 다양성 감소 문제와 로드킬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이 있다. 동시에, 서울 시민들이 생태네트워크의 중요성과 생물서식공간의 복원방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며, 나아가 함께 참여하는 공간으로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지와 인접한 자연 수림 지역의 유사 식생을 도입하여 기존 수림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키며, 향후 건강한 생태계의 안정적인 형성을 위해 천이를 유도할 수 있는 지역의 잠재 식생을 도입하도록 한다. 우면산과 말죽거리 공원에 서식하는 소동물, 조류, 곤충이 이질감 없이 생태통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브릿지 유입부를 Y자 형태로 벌려 최대한 넓히고, 이동과 휴식, 은신과 서식에 필요한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인간의 간섭에 대한 노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산책로와 생물 이동 통로를 분리시켰다.

구조계획
생태적으로 보행로와 녹지 연결로를 분리하는 원칙하에, 아치 단면은 도로상부 105미터를 큰 두개의 아치가 쌍으로 가로지르며, 횡력 저항력이 높은 효과적인 구조이다. 보행로는 쌍아치 사이에 매달려 녹지 연결로와 분리되면서, 보행자들에게 다양하고 입체적인 전망을 제공한다. 보행로 난간은 안전을 위해 1.8미터 다공철판(punched metal)로 계획하였다. 쉘형 구조인 모노코크(monocoque)는 구조체이면서 외피가 따로 필요 없어 별도의 무근콘크리트로 인한 하중의 증가가 없는 구조, 외피의 일체형이다. 각 아치 부재의 지오메트리(geometry)는 모두 같아 시공상 경제성을 높였다.

모노코크 쉘형 구조 Monocoque shell type structure
모노코크는 프랑스어로 “단일 외피”를 의미한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노코크는 구조와 외피가 분리 된 일반적인 방식과는 달리, 구조와 외피를 동시에 수행하는 완전성(integrity)을 갖고 있다. 주로 자동차와 선박사업에서 많이 쓰이고 있으며, 건축에서는 외부 구조나 캔틸레버 등에 많이 쓰인다. 최근 지어진 포르쉐 파빌리온(Porsche Pavilion)에서는 모노코크를 사용함으로써 지붕의 25m 캔틸레버와 동적인 형상을 가능하게 했다. 다른 예로는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gers)의 타이완에 R9 스테이션, 퓨쳐 시스템(Future Systems)의 낫웨스트 미디어센터(Natwest Media Centre)가 있다. 기존 구조형식보다 가볍고 단일체라는 점에서 모노코크는 다양한 건축, 토목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식재 계획
배식은 기본적인 생태적 배식으로, 지역 자생종과 식생구조를 고려하여 숲 가장자리 부분과 생태다리 양측을 따라 이어지는 부분은 교목, 관목, 초화를 통한 다층구조로 식재 계획하였다. 횡적으로 이어지는 다리 양쪽경계부위는 다양한 관목과 아교목 위주로 한 다층의 울타리형 차폐식재를 도입한다. 이러한 선형의 다층 차폐식재는 하부 고속도로의 불빛을 차단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울타리에 서식하는 소동물의 이동이나 은신처 역할을 겸할 수 있고 생물종다양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ject information

총괄: 위진복
구조: 동양안전기술
생태: 서울여대 이은희 교수, 안근영 교수

UIA. All rights reserved.
UIA. All rights reserved.